지식/육류 2

미국산 소고기 등급제도

미국산 소고기를 사먹으면서 등급 제대로 알고 먹으면 현명한 소비가 됩니다. 아래 정도만 알아고있어도 반전문가는 될 수 있습니다. * 미국산 소고기의 등급제 미국의 소고기 등급 제도는 1916년에 최초로 소 도체 등급에 대한 임시 기준이 마련된 것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변경과 절차를 거쳐 소 지육 등급 제도로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1926년에 미국농무부 장관에 의해 미국농무부의 공식 소고기 지육 등급 기준으로 공식 발표되어 1927년 5월부터는 업계의 자발적인 참여로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소고기 지육은 주로 품질등급(Quality Grade)과 수율등급(Yield Grade)으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등급은 미농무부의 등급 판정관이 결정합니다. 이 두 가지 등급은 개별적으로 적용되..

지식/육류 2024.01.20

조리했는데 고기가 붉어요. "핑킹현상"을 아시나요?

고기를 먹다보면 이런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이거 안익은거 아니야?" "분명 100˚C 이상으로 조리했는데 왜 안 익지?" 하지만 해당 고기는 충분히 잘 익었습니다. 그럼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요? 바로! "핑킹현상" 때문입니다. 핑킹현상이란 무엇인가? 핑킹현상을 이해하려면 우선 미오글로빈이 무엇인지 알아야합니다. 미오글로빈은 적색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근육을 붉게 염색하는 물질입니다. 이 미오글로빈을 가열하면 산소와 결합하여 회갈색으로 변하는데 채소와 함께 조리하거나 산소가 부족해지면 다시 붉은색으로 돌아오는데 이때 일어나는 현상을 "핑킹현상"이라고 합니다. 특히 질산염, 아질산염이 포함되어 있는 채소(무,쑥갓 등등)와 조리하면 핑킹현상이 더 잘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모든 고기에서 일어날..

지식/육류 2024.01.19